중국 유네스코 문화유산, 중국 문화재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중국 관광지 소개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

중국 유네스코 문화유산, 중국 문화재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중국 관광지 소개합니다.

by 월가의 영웅들 2023. 10. 23.
728x90
반응형

중국 유네스코 문화유산, 중국 문화재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중국 관광지 소개합니다.

 

중국 불교의 정수 둔황에 가다! 간쑤성 둔황의 역사속으로

 

중국 간쑤성에 위치한 둔황은 실크로드의 관문으로서 사막과 오아시스를 간직한 도시입니다. 특히 둔황의 막고굴은 중국 불교 예술의 극치라고 불리며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둔황이 어디에요?

 

둔황은 중국 간쑤성 주취안시로 간쑤, 칭하이, 신장 이 3개 성이 만나는 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둔황은 실크로드의 관문도시로 '둔황석굴', '둔황벽화'가 널리 알려졌으며 세계유산인 막고굴과 옥문관이 있습니다.

둔황은 사막에 둘러싸여 연간 강수량은 50mm도 안 되지만 증발량은 2500mm가 넘어 중국에서 가장 가물었던 지대 중 하나입니다. 둔황은 옛날에 사주라고도 불리었는데, 이는 마치 망망한 모래 바다에 좌초된 작은 배처럼 발견되기를 기다리고, 먼 항해가 열리기를 기다리는 것 같아 이름 붙여졌다고 합니다.

실크로드

 

실크로드는 일반적으로 육상 실크로드를 가리키며, 넓은 의미에서는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로도 구분됩니다.

육상 실크로드는 서한 한무제가 서역으로 개척한 수도 장안(지금의 서안)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서안을 시작으로 간쑤, 신장을 거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에 이르고 지중해 각국의 육상 통로를 연결하였습니다. 실크로드의 최초 목적은 중국에서 생산된 실크를 운반하는 것이었습니다. 1877년 독일의 지리학자 리히호펜은 저서중국이란 책에서 기원전 114년부터 서기 127년까지 중국과 중앙아시아, 중국과 인도 간의 실크 무역을 위한 길을 실크로드라고 명명했습니다.

해상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이 외국과 무역을 하고 문화를 교류하던 해상 통로로, 이 길은 주로 중국 남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남해 실크로드라고도 합니다. 해상 실크로드는 진한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삼국 시대에서 수나라 시기까지 발달하여 당나라, 송나라 시기에 가장 번성하고 명나라, 청나라 시기까지 지속된 가장 오래된 항로입니다.



중국 간쑤성 둔황 사막, 명사산

 

명사산의명사는 소리 나는 모래, 호루라기 또는 음악 모래라는 뜻입니다. 사막이나 모래언덕에서는 각종 기후와 지리적 요인의 영향으로 석영 위주의 고운 모래알이 만들어지며, 이 모래가 바람에 의해 진동하고, 모래가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서로 움직이며 많은 모래알이 기류를 돌며 소리를 냅니다. 중국 서부지역은 주로 사막인데, 이 모래언덕은 산 모양으로 쌓여 있어 명사산이라고 합니다.

중국 간쑤성 둔황 사막의 오아시스, 월아천

 

명사산에는월아천이라는 초승달 모양의 오아시스가 있습니다. 간쑤성 둔황시에서 남서쪽으로 5km 떨어진 명사산 북쪽 기슭에 있습니다.

월아천은 남북 길이가 100m에 가깝고, 동서로는 약 25m에 이릅니다. 가장 깊은 곳은 약 5m에 이르는데, 초승달처럼 굽어 있어 '사막 제일의 샘'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둔황 팔경의 하나로 1994년 중국의 국가급 풍경명소로 지정되었습니다.

중국 간쑤성 둔황 막고굴

 

둔황의 막고굴은 1000여 개의 석굴이 있어 천불동(천 개의 동굴) 이라고도 불립니다. 16세기에 한 승려가 이곳을 지나다가 황금색의 불빛을 보았고 이를 부처의 계시라고 여겨 암벽에 첫 동굴을 뚫었다고 합니다. 이후 승려, 도공, 석공 등의 사람들이 드나들며 수많은 불교 작품을 남겼습니다. 막고굴의 벽화들은 건식 프레스코 화법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석가의 일대기, 극락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막고굴을 통해 실크로드를 타고 전해진 불교 예술의 극치를 볼 수 있습니다.

왕오천축국전

 

둔황의 막고굴에서는 신라 시대 고승 혜초가 쓴왕오천축국전도 발견되었습니다. 왕오천축국전은 혜초가 인도를 여행하며 풍속, 문화 등을 기록한 내용입니다. 프랑스의 탐험가 펠리오가 막고굴에서 발견하였으며, 원본은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중국 둔황의 역사와 명소를 알려드렸습니다.

 

 

중국의 3대 통신사를 알아보자!

드넓은 영토와 엄청난 인구의 중국! 대륙의 통신서비스를 주름잡는중국의 3대 통신사
차이나 유니콤,차이나 모바일,차이나 텔레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통신사 3사와 중국의 요금제까지 함께 살펴볼까요?
첫번째로 소개해드릴 통신사는 차이나 유니콤입니다.차이나 유니콤은 20091월에 2개의 회사를 합병해 세운 중국의 인터넷 통신 회사입니다현재까지 중국31개의 성에서 3 200만 명(2018 6월 기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모바일 네트워크 업무와 국내·국제통신 시설서비스,위성 국제 전문 통신 서비스,데이터 통신서비스 등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넘어 세계를 아우르는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와 모바일 네트워크를 고정하는 초고속 통신화를 적극 추진하여 많은 사용자들에게 고품질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통신사는 차이나 모바일입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국가간 통신체재 개혁 요구에 따라 차이나 텔레콤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통신 회사입니다. 2000년에 5월부터 정식 영업을 시작했고 홍콩에 자회사를 두고 있습니다.

GSM
TD-SCDMA기술을 통해중국31개 성과 홍콩 특별 행정구역에서 9 580만 명(2018 6월 기준)에게유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31218일에는4G브랜드'And'를 발표했는데요,중국의 모바일4G업무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리는 구호로,‘모바일4G,국제 주류라는 구호를 제시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세번째로 소개해드릴 통신사는차이나 텔레콤입니다.차이나 텔레콤은2010년 상하이 엑스포의 글로벌 파트너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2 8000만 명(2018 6월 기준)에게유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출시한 고객 브랜드인 티엔이링항이라는 브랜드를 내놓았습니다. 기업 고객의 정보화 수준 상승,원가 하락,서비스 개선,상업 기회 증가,신제품 출시를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요금제

지금까지 중국의3대 통신사를 간단하게 살펴봤는데요. 우리나라처럼 중국에서도휴대폰 요금제는 통신사마다 다양합니다그중에서도 눈여겨봐야 할 요금제가 있는데요, 바로 중국의'套餐'이라는 요금제도 입니다.套餐은데이터와 통화량,문자량을 본인이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요금제도입니다.

먼저 차이나 유니콤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요금제를 알아볼까요?차이나 유니콤에서는매월39위안( 6,300) 내면전국에서 가능한300분 통화,무료 전용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중국은 성마다 유심카드가 있어서 만약에 다른 도시로 여행을 가게 되면 해당 도시의 요금제로 책정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마치 외국에 나간 것처럼 원래 살던 도시에서 쓰던 요금제와 여행 갔을 때 도시에서 책정되는 요금이 달라지는 것입니다.그래서 요금제를 선택할 때에는 전국''성내의 표기를 주의해서 보셔야 합니다.

차이나 모바일의 요금제도 살펴볼까요? 차이나 모바일의 요금제는 반년에서 1년까지 기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반년인 180일 동안 180위안(29,500)에 데이터6GB를 쓸 수 있는 요금제가 있는데요,300위안에12GB, 420위안에 18GB 등 데이터 크기에따라 요금제도 다양하니 본인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해서 쓰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차이나 텔레콤 요금제를 알아보겠습니다.차 이나 텔레콤에서는 499위안( 81,800)92일 무료 데이터100M, 유심카드 한도를 넘을 시에는전국 데이터1GB추가 제공하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중국 통신사 이용 꿀팁!

 

1. 쓰고싶은 만큼 간편하게 충전해서 쓰자!
중국의 통신 요금은충전식이기 때문에 먼저 요금을 내고 해당 요금을 다 쓰면앱으로 데이터량과 핸드폰 요금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핸드폰 요금을 충전하려면 해당 통신사의 앱을 다운로드 하거나알리페이로 충전할 수 있답니다.

2.
외국인의 경우 핸드폰 개통 시 여권과 사진은 필수!
외국인이 중국에서 핸드폰을 개통하려면여권이 필요합니다. 통신사에 방문하기 전에 여권을 꼭 챙겨 가셔야 하는데요,통신사에서 핸드폰을 개통하면 여권사진은 물론 본인 얼굴도 함께 찍어야 하니 놀라지 마세요!그렇게 핸드폰을 개통하면 통신사에서 유심칩을 주는데요, 이때 유심칩에 적혀있는 번호가 본인의 핸드폰 번호이니 잊지 말고 기억해두세요.

이렇게 중국의 3대 통신사와 요금제도를 소개해 드렸는데요,넓은 대륙만큼이나 다양한 요금제도가 있으니 중국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실 예정이라면 본인에게 가장 알맞은 통신사와 요금제를 비교해보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중국의 국영방송 CCTV를 아시나요?

 

CCTV를 아시나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대부분이 보안 카메라를 떠올릴 텐데요, 그렇다면 중국에서는 어떨까요?

​CCTV(China Central Television)1958 5 1일에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방송입니다.

중국의 신문방송, 사회교육, 문화 오락, 정보전달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는데요, 중국의 국영방송 CCTV의 역사와 채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CTV 의 시작

CCTV의 역사는 마오쩌둥 주석의 제안에서부터 시작됩니다. 1957, 중앙방송 사업국에서는 대표단을 만들어 소련과 독일을 시찰하고 1년 후 베이징으로 돌아가 방송국을 설립하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1958 5 1 19시 정각에 베이징 텔레비전 방송국(현재 중국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 전신)의 시험 방송이 방영되었는데, 중국 자체의 텔레비전 신호가 베이징에서 처음 방영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날 저녁 베이징에 단 몇 십 대의 텔레비전 수상기 스크린에는 본부 건물 모형을 배경으로 한 그림이 나와 '베이징 텔레비전 방송국'이라는 문구가 적힌 tv 화면이 나타났습니다.

1978 1 1일 뉴스 프로그램 《뉴스 연합 방송》이 정식으로 방영되었고 같은 해 5 1, 중국 공산당 중앙 허가를 거쳐 베이징 텔레비전 방송국은 정식으로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명칭을 바꾸게 됩니다. 그날 밤, 교체된 로고가 스크린에 나타나서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중국 국영방송 CCTV의 역사

CCTV의 초기 이름은 베이징 텔레비전 방송국(北京电视台)으로, 1958 9 2일에 정식으로 방송이 시작되었고, 1978 5 1일에 중앙 방송국 CCTV(ChainaCentral Television)이라는 현재의 이름으로 거듭납니다.

2007 CCTV가 모바일 미디어 채널을 개국하며 자연스레IPTV 채널 서비스도 함께 시작하게 됩니다. 2009년 央视网에서 중국 인터넷 방송국(CNTV)으로 개편되어 정식으로 개국하였습니다.

2015년 발표된 영상 자료에 따르면 CCTV는 전세계 92개국 1700개에 이르는 tv 채널에 의해 채택되어 2016년중국국제방송(中國环球球电视)을 개국하게 됩니다.

2006년 중국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의 '세계브랜드 500' 4위에 올랐고, 2010 '아시아 브랜드 500' 10위 진입하였습니다. 2016 6 22 '중국 500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CCTV 순위는 총 8위를 차지하며, 브랜드 가치는 201853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상승한 수치를 보여줬습니다.

CCTV 채널

CCTV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먼저CCTV1번은 종합 채널로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을 방송합니다. 2번 채널은 경제 관련 뉴스, 3번은 종합 예술 채널로 예능, 가요 프로그램 등을 방송합니다. 5번은 스포츠 관련 소식을 주로 다루고 6번은 영화 채널입니다. 현재 CCTV는 무료 채널 16, 유료채널 21, 중국 국외 채널 7, IPTV 채널 2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국 유네스코 문화유산, 중국 문화재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중국 관광지 소개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